Cheers Hena ;) 259

[Linux] su / su - / sudo 명령어와 차이점

su / su - / sudo 명령어와 차이점 일반 user 가 root 권한 사용하기 위해서는su (switch user) 혹은 sudo (super user do) 명령어를 사용한다. su 명령어 현재계정에서 로그아웃하지 않고 다른계정으로 전환하는 명령어.ex)su rootsu - root su 명령어 옵션 -c : 쉘을 실행하지 않고, 주어진 명령만을 수행. -s : 지정된 쉘로 로그인 - , -l : 지정사용자의 환경변수를 적용하여 로그인 su 명령어 실행시 pw를 물어본다.여기서 - 의 유무차이가 있다. su root 계정의 환경변수 가져오지 않고 root 계정으로 전환. 즉, 현계정의 환경변수를 그대로 사용하게 된다. su - root계정의 환경변수를 가져와서 root 계정으로 전환한다. 로그..

Back-end/Linux 2020.03.24

[NETWORK]TLS (Transport Layer Security) = SSL (Secure Sockets Layer)이란?

SSL (Secure Sockets Layer)인터넷 통해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통신할때 통신내용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방법. SSL이 제공하는 기능 1. 서버인증 server Authentication2. 클라이언트 인증 client Authentication3. 데이터 암호화 Data Encryption 인증 Authentication통신의 상대방이 검증된 값이 맞는지 확인하는 절차. 암호화 데이터가 누출되더라도 외부에서 내용을 해독할 수 없도록 암호화하는 것 SSL사용하는 URL은 https라는 스킴 shceme을 사용하여 구분한다.ex) https://www.helloworld.com TLS (Transport Layer Security) 최근버전의 SSL은 TLS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공개키 Pub..

Back-end/Network 2020.03.18

[jquery] DOM selector 접근

기본 selector* : 모든요소 element : 지정된 요소 이름을 가진 모든 요소 #id: 지정된 id 특성값을 가진 모든 요소들 .class: 지정된 class특성값을 가진 모든 요소들selector1, selector2 : 하나이상의 셀렉터와 일치하는 모든 요소들 (셀렉터 조합시 .add() 메서드를 사용하면 효율적) 계층 탐색 selector조상과 후손 요소 : ancestor(공백)descendant : 다른요소 하위요소들 탐색 selector ex) li a 부모와 자식 요소 : parent > child : 다른 요소의 직접적인 자식 요소들 탐색 selector (특정부모 요소의 모든 자식요소 탐색하려면 자식요소자리에 * 사용) 이웃 요소 : previous + next : 이전 요소의..

Back-end/JavaScript 2020.03.18

[Network]SPF란? Sender Policy Framework

SPF : Sender Policy Framework DNS (Domain Name Service)레코드의 한 유형으로 , 스팸 발송자가 전자 메일주소를 스푸핑하거나 도용하여 수천개 전자메일을 불법으로 보낼수 있는 전자메일시스템의 허점을 방지하기 위해 만들어짐. SPF는 메일서버 정보 사전에 DNS에 공개등록함으로써 수신자로 하여금 이메일에 표시된 발송자 정보가 실제 메일서버의 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메일검증 기술이다메일서버 등록제 라고도 불림. 메일전송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은 너무간단하여 실제 발송자 인증할수 있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이를 보완. SPF 작동방식DNS 기반의 스팸필터랑 기술로 메일 발송한 도메인에 대해..

Back-end/Network 2020.03.18

[network]네트워크 텔넷(telnet) 명령어 - 포트(Port) 확인

네트워크 텔넷(telnet) 명령어 - 포트(Port) 확인 1. 명령프롬프트 (cmd) 명령어 telnet [IP 또는 도메인] [포트] 성공 ex) 연결에 성공하면 위에처럼 [Telnet naver.com] 표시됨. http 기본 포트인 80 포트가 열려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패 ex) 해당 포트에 연결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 텔넷(telnet) 사용이 안되는 경우 텔넷 클라이언트 활성화 시켜주어야함. 1. [제어판] -> [프로그램 및 기능 or 프로그램 추가/제거] -> [Windows 기능 켜기/끄기] 2. [텔넷 클라이언트] 체크 -> [확인] 3. 텔넷 종료 ctrl + 대괄호 ] // 실행 빠져나오기 telnet> quit //텔넷 연결 종료

Back-end/Network 2019.08.05

[spring] 어노테이션이란? @modelAttribute

@ModelAttribute = command object 이미지와 같이 @ModelAttribute는 클라이언트의 파라미터를 완벽하게 이해하고 있는 자바빈 객체 요구. 이 객체에 @ModelAttribute라는 어노테이션을 붙이면 자동으로 바인딩 해주고 중간과정은 모두 자동으로 생략해준다. @Controller public class HomeController { @RequestMapping (value"/", method = RequestMethod.GET){ . . . . } } 위 예시보면 바인딩 과정이 코드에 전혀 나타나있지 않고 전달인자에 @ModelAttribute를 넣는 것만으로 모두 생각이 가능해졌다. 만약 이 코드를 서블릿으로 대체해 보자면 아래와 같다 public class HomeC..

[java spring] 스프링프레임워크 <form:form> 태그 사용법

스프링 프레임워크 태그 사용법 스프링프레임워크 form 태그라이브러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음 taglib 설정을 페이지 상단에 추가합니다. 1. 옵션 없이 사용했을 경우 기본값 호출 URL이 /offbyone/boardForm.do 라고 가정하고, 옵션 없이 사용한 경우 form 태그: 결과 HTML: - id 속성은 "command" 가 기본값입니다.- action 속성은 자기 페이지의 URL 입니다.- method는 POST가 기본입니다 2. commandName과 modelAttribute 옵션 commandName 과 modelAttribute 옵션은 폼에 있는 요소들의 값을 채우기 위해서 사용될 객체를 request 로부터 찾을때 사용할 이름을 지정합니다. 두 옵션은 동일한 기능을 합니다..

[스프링]자바에서 설정파일(xml , properties.. ) 읽어들이기.

Apache Commons Configuration :애플리케이션 운영 환경 설정에 사용하는 기술- Apache commons 프로젝트 중 한 컴포넌트인 Configuration. Commons Configuration은 일반화된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자바 애플리케이션이 다양한 소스에서 설정을 읽을 수 있도록 해준다. 자바에서 설정 파일 읽어들이는 방법 * 순서 : 1. [web.xml]선언된 listener클래스 ContextLoaderListener 의해 RootWebApplicationContext영역을 구성 applicationContext.xml org.springframework.web.util.Log4jConfigListener org.springframework.web.contex..

톰캣 tomcat 구조 파악하기.

톰캣 구조 파악하기. web 서버http 프로토콜 기반으로 web client (browser) 로부터의 요청을 서비스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프로그램. ex) apache ..역할: html, image, xml 등에 대한 처리 담당 web Application 서버여러 web client의 요구를 web서버가 감당할수없는 기능을 구조적으로 web서버와 분리하기 위해 만들어진것으로 web application server(WAS) 라고 한다. ex) tomcat, weblogic, jeus, jboss.. 웹서버와 와스 차이점Web server와 WAS는 사용 목적이 다르다.web 서버: html, 이미지 요청등 정적데이터 요청을 처리하는데 빠르다.WAS : servlet , jsp 등 비즈니스 로직을 수..

Back-end/DEV notes 2019.04.28

Tiles 타일즈란 ?

타일즈란? Tiles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header, footer와 같은 정보를 한곳에 모아둔 프레임워크. 화면 기본 구성 레이아웃 템플릿 정의하고 상속을 통하여 대부분 구조를 재사용할 수 있는 기능 및 설정파일을 통한 통합 관리를 통하여 확장성 있고 일관되게 페이지 구성을 관리한다. 관련 용어) Template는 페이지의 구조를 기술하고 Attribute는 구조내에서 실제 내용에 해당하며, definition은 Template(구조)에 Attribute(내용)을 연결하여 랜더링가능한 페이지를 기술한다. Template : 페이지 레이아웃을 의미하며, jsp 파일로 페이지의 기본 골격을 구성하고 각 페이지의 실제 구성 내용은 definition에서 설정되는 Attribute(실제 내용) 태그를 사용하여..

Back-end/DEV notes 2019.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