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u / su - / sudo 명령어와 차이점
일반 user 가 root 권한 사용하기 위해서는
su (switch user) 혹은 sudo (super user do) 명령어를 사용한다.
su 명령어
현재계정에서 로그아웃하지 않고 다른계정으로 전환하는 명령어.
ex)
su root
su - root
su 명령어 옵션
-c : 쉘을 실행하지 않고, 주어진 명령만을 수행.
-s : 지정된 쉘로 로그인
- , -l : 지정사용자의 환경변수를 적용하여 로그인
su 명령어 실행시 pw를 물어본다.
여기서 - 의 유무차이가 있다.
su
root 계정의 환경변수 가져오지 않고 root 계정으로 전환. 즉, 현계정의 환경변수를 그대로 사용하게 된다.
su -
root계정의 환경변수를 가져와서 root 계정으로 전환한다.
로그인 시 기존 계정 환경변수를 초기화하고, 기본 /root 디렉토리로 이동하게 된다.
sudo
현계정에서 단순히 root권한만을 빌리는 것.
즉, 하나의 명령에 대하여 일시적으로 root권한을 사용하는 것이며, 실행 전 현사용자의 비밀번호를 물어본다.
whoami
현재 계정 (user) 확인 명령어
logout / exit
전환하기 전 계정으로 돌아가는 명령어
반응형
'Back-end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yum daum 저장소 설정(yum install 에러 해결: Could not resolve host: None; Unknown error) (0) | 2021.02.25 |
---|---|
리눅스 퍼미션이란? Permission (chown/chmod/umask) (0) | 2021.01.20 |
Linux환경에서 Java InstallCert를 사용하여 외부 SSL/TLS인증서를 Import 하기. (0) | 2020.12.08 |
[Linux] rpm / yum 이란? (0) | 2019.03.22 |
[Linux]많이 사용하는 Linux 명령어 (0) | 2019.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