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end 185

크롬 메모리 부족 다운 현상 out of memory 해결법!!! 윈도우10 가상메모리 설정

크롬 메모리 부족 다운 현상 out of memory 해결법!!! (feat. 윈도우10 가상메모리 설정) + 2주 사용 결과 쌉해결!!!! 했습니다 ! 다들 저넘이랑 굿바이 하세요오 ~~~ WTF? who the f are you ?!?!!? 일을 하면서 언제부턴가.. 크롬을 사용하던 도중 저놈의 out of memory 오류코드가 뜨면서 브라우저가 다운되는 현상때문에 딥빡이 친적이 한두번이 아니었다. 이해가 안가는건 PC 성능을 실시간으로 띄워도 딱히 CPU나 메모리가 부족하지 않고 심지어 넉넉한 상황에서도 크롬은 자꾸만 아웃오브 메모리를 외쳐대었다. 하.... 개발자하면 다 컴퓨터박사인지 아는데 소프트웨어 개발자인 나는 하드웨어에는 잼병이어서 도대체 이 현상의 고질적인 문제가 뭔지 당최 알 수가 없..

Back-end/DEV notes 2020.11.30

NFS 란? Network File System. NFS 구축해보기

NFS Network File System.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 네트워크 상에서 파일시스템을 공유하도록 설계된 파일 시스템. - 다른서버의 파티션을 마치 내 로컬영역인 것처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 -한 개의 서버에 NFS로 여러대의 웹서버로 연결할수 있어 여러클라이언트에서 한 서버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NFS 구축하기 example NFS 서버(192.168.123.123) 구축 순서 1. NFS서버 패키지 설치 [root@web ~]# yum install portmap nfs-utils* libgssapi 2. NFS exports 설정 - 마운트를 허가할 디렉토리 및 호스트 목록 설정 #NFS 서버의 특정 IP호스트 접속 허용 설정 [root@web /]# vi /etc..

Back-end/Network 2020.11.24

프록시 서버 란? Proxy Server

프록시 Proxy 의 사전적 의미는 대리인이다. 즉, 프록시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자신을 통해서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에 간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게 해준다.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다른 서버상의 자원을 찾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중계하는 서버를 말한다. 쉽게 말해 중계서버라고 생각하면 된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중계자 역할로 대리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가리켜 '프록시', 그 중계기능을 하는 서버를 '프록시 서버'라고 부른다. 주로 보안상의 문제로 직접 통신을 송수신할수 없는 상황에서 프록시를 이용하여 중계통신을 하는데 사용한다. 프록시 서버 종류. 프록시 서버는 서버위치에 따라 크기 두가지로 나뉜다. 1. 포워드 프록시 Forward Proxy 예를 들어 그림과 같이 클아이언트가 example.com에 ..

Back-end/Network 2020.11.20

Tomcat 파일생성 권한 - UMASK 설정

Tomcat에서는 기본 보안설정이 정해져 있다. 폴더 : 777 rwx 파일 : 666 rwx tomcat 에서 구동되는 Web application에서 파일을 생성했는데 permission이 기본 설정인 -rw- r-- --- 으로 생성되어 해당 파일을 읽을 수가 없는 현상 발생. 이미지 파일업로드라던지 기타 tomcat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업로드된 파일에 대한 접근권한을 주기위해서는 권한을 변경해주어야함. catalina.sh 파일에서 UMASK설정을 수정하면 된다. vi catalina.sh # Set UMASK unless it has been overridden if [ -z "$UMASK" ]; then UMASK="0027" fi umask $UMASK 위구문의 UMASK="0027" 을 "..

Back-end/DEV notes 2020.11.18

쿠키Cookie와 세션Session 이란? 차이점.

쿠키와 세션 사용하는 이유 HTTP프로토콜의 특징이자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한다. 먼저 http프로토콜의 특징이자 약점을 살펴보자. 1. Connectionless. Protocol 비연결지향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했을때, 그 요청에 맞는 응답을 보낸 후 연결을 끊는 처리방식. 2. Stateless Protocol (상태정보 유지안함) 클라이언트의 상태정보를 가지지 않는 서버처리방식. 클라이언트와 첫번째 통신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았다 해도, 두번째 통신에서 이전데이터를 유지하지 않는다. BUT, 실제로는 데이터유지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정보가 유지되지 않으면 매번 페이지 이동시 마다 로그인을 해야하거나 장바구니에서 상품을 선택했는데 구매페이지에서 상품의 정보가 사라지거나 하는 경우가 발생할 것이다..

Back-end/DEV notes 2020.11.18

SMTP 기본 명령어

SMTP basic commands HELO (hello) 클라이언트는 SMTP 서버에 helo명령을 전송하여 SMTP를 식별하고 대화를 시작한다. 일반적으로 SMTP클라의 도메인이나 IP주소를 명령과 함께 전송한다. ex) "HELO test.co.kr" MAIL FROM 보낸이 메일주소 지정. 새 메일 트랜잭션이 시작되고 있는다는 것을 SMTP서버에 알리고 서버가 모든상태 테이블과 버퍼 등을 재설정하도록 한다. RCPT TO (recipient to) 받는이 메일주소 지정. 주어진 전자메일 메세지에 대해 여러번 반복하여 메세지 전달 가능. DATA 메세지 본문내용의 전송 시작. DATA명령이 클라에서 서버로 전송된 후 서버는 354 응답 코드로 응답하고 그 후 메세지 내용을 서버로 전송한다. DATA..

Back-end/Network 2020.11.11

나스란 ? NAS storage

NAS Network-Attached Storage 네트워크 연결 스토리지. - USB나 CD처럼 컴퓨터에 직접 연결하는것이 아니라, 네트워크 즉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저장장치. - 클라우드가 가진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쉽게말해 클라우드를 개인서버에 두고 개인용으로 사용하는 것과 같다. - 일반적으로 소형 CPU에 용량이 큰 하드디스크를 연결해서 사용한다. 용도 - 데이터공유, 백업 (클라우드 대비용) - NAS의 원래 목적은 파일서버의 목적인 데이터 공유였다. 하지만 지금은 기능이 계속늘어나 영상스트리밍, 트랜스코딩 스트리밍, 토렌트, 데이터백업, 챗봇, 음악스트리밍, 가상머신, 이메일 서버, 웹페이지 호스팅 등 용도가 다양해지고 있다. 장점 - 대용량 지원 ★ 클라우드는 용량에 따라..

Back-end/Network 2020.11.06

Rsync 알싱크 란?

○ Rsync Remote Synchronization. 원격 동기화 원격으로 파일과 디렉토리( /data 등) 을 복사하고 동기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툴. 네트워크 프로토콜. 서버서버간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디렌토리 및 파일을 동기화해 준다. 장점 원격 시스템으로부터 파일을 효율적으로 복사 및 동기화할 수 있다. link, device, 파일의 소유자와 그룹권한 등 파일의 부가정보까지 복사가 가능하다 빠르다. Rsync는 remote-update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차이가 있는 파일만 복사한다. 처음에는 모든파일 및 디렉토리를 복사 후, 이후부터는 출발지와 목적지 간의 다른부분 만을 복사하기 때문에 빠르고 효율적으로 작동한다. 데이터를 압축해서 송수신하기 때문에 적은 대역폭을 사용한다. 파일크기 또는 시..

Back-end/Network 2020.11.05

스프링 시큐리티란? Spring Security

스프링 시큐리티 Spring Security ▶ web.xml에 Spring-security 설정. contextConfigLocation /WEB-INF/config/spring/applicationContext.xml filter-name: 반드시 springSecurityFilterChain 으로 준다. 스프링시큐리티 내부에서 해당이름으로 클래스를 찾기때문. 해당필터가 적용될 URL패턴은 모든패턴을 의미하는 /* 로 준다. * 주의 패턴을 예를들어 사용하는 웹페이지 확장자 .do등 이라고 해서 *.do를 주면안됨. Spring security에서는 내부적으로 작업위해 사용되는 url들이 있는데 이 url들이 뒤에 확장자가 붙지 않는다. ex) 로그인 인증관련 작업 url은 j_spring_sercu..

도메인 기반 이메일 인증 SPF / DKIM / DMARC

SPF, Sender Policy Framework 메일서버등록제메일 발송서버 정보(IP)를 사전에 DNS에 등록하여 수신자로 하여금 이메일에 표시된 발신자 정보(IP)가 실제 메일서버의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인증합니다. 수신시 발신자 위조 여부 확인을 위한 SPF 기능이 가동되므로 사칭메일의 유입을 차단한다. ◎ SPF를 이용한 이메일 인증절차발신자 : 메일 발송서버 정보(IP)와 정책을 나타내는 SPF 레코드를 해당 DNS에 등록수신자 : 이메일 수신시 발송자의 DNS에 등록된 ‘SPF 레코드’를 조회하여 해당 이메일에 표시된 발송IP와 대조하여 사칭여부 판단 및 수신여부를 결정 DKIM Domain Keys Identified Mail 도메인 키 인증 메일메일 헤더에 디지털 서명을 ..

Back-end/Network 2020.07.09